
내화페인트
가열 발포형 고기능 내화피복제
내화페인트
철골 주요 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여 화재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내화피복공사에 적용되며, 일반도료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없습니다


내화페인트 특성
철골 부재에 일정 두께의 도막을 가진 내화페인트는 안정상태에서 약 200~250℃의 열에 노출되면 분자 상호간 배열 상태가 안정상태에서 벗어나 불연성 기체를 방출하며 팽창하여 불연성 단열층이 만들어져 열전도를 차단하게 되어 1000℃ 이상의 고온에서도 철골 구조물을 화재로부터 보호 합니다.

열역학적 효과
도료의 분자 안정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스스로 많은 열에너지를 흡수하는 흡열 기능으로 온도 상승을 지연시키는 효과를 가집니다.
차단층 효과
발포층이 철골부재의 공기접촉을 차단하게 되어 발포층에서의 연소반응을 지연 시킵니다.
가스 희석 효과
도료가 팽창 발포할 때 화학반응으로 방출되는 난연성 기체 및 수증기 등으로 화재로 만들어진 가연성 기체가 일부 희석되면서 연소 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집니다.
이러한 내화페인트의 특성으로 평상시에는 얇은 도막 형태로 철골 등에 부착되어 있지만 화재가 발생할때 열차단과 함께 가스 희석 효과 등을 보여 건축물의 내화 성능을 높이게 됩니다.
내화도료 종류

하도
철골 배탕재의 방청을 목적으로 하며 내화성 방청도료를 프라이머(Primer)로 사용 합니다.
중도
내화도료의 주재료로서 열을 받으면 발포 팽창하여 단열층을 형성하고 우수한 단열성능으로 철골조를 화재로부터 보호합니다.
상도
중도를 보호하는 도막이며 중도와의 부착성과 내수성, 내후성이 우수해야하며 색상의 선택은 가능하나 현장조색은 금합니다.

성 능 · 스 펙
물성

자재구성

내화구조 기준

내화페인트
가열 발포형 고기능 내화피복제